기사상세페이지

[김연갑의 애국가를 찾아서 8] 김구, 왜 애국가 작사자 이름을 잊었다고 했나?

기사입력 2017.07.07 23:0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김구, 왜 애국가 작사자 이름을 잊었다고 했나?

    [김연갑의 애국가를 찾아서]

    [우리문화신문=김연갑  애국가학교 교장]  임시정부는 애국가 작사자를 누구로 알고 있었을까이는 김구 주석의 인식에서 살필 수 있을 것이다김구 주석은 1945년 애국가 악보에서 그 해석을 가능케 하는 기록을 남겼기 때문이다바로 한중영문중국판(韓中英文中國版한국애국가(韓國愛國歌)란 악보집 기록이다.

     

    이 악보에는 중국 충칭(중경)에서 발행된 김구의 장서인과 친필로 표제를 쓴 표지 왼쪽에 金九 題(김구 제)’와 金九之印(김구지인)’이라는 인장과 김구 친필로 一九四五 十月十八日’(1945년 1018)이 쓰여 있다뒷면 중앙에는 중사장(中山裝)의 김구 사진이 있고사진 아래쪽에서는 <한국애국가 고사(故事)>와 작곡자 그리고 번역자(중역/민석린영역/정한범)를 소개했다이런 정황으로 보아 김구를 비롯한 임정 요인들은 이 악보집 출간에 의한 실물 악보를 보지 못하고 귀국했을 것이다.

     

    이 악보집은 충칭의 <음악월간사(音樂月刊社)>라는 출판사에서 이사소(李士釗)가 편집발행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한국 국가의 역사성을 비롯해 변천 과정과 법적 지위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일본의 항복으로 광복을 중국 중경에서 맞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요인들의 귀국을 앞두고 한중영문중국판(韓中英文中國版한국애국가(韓國愛國歌)》 악보를 발행했다이 악보의 존재는 1942년 미국 대한인국민회(Korean National Association)가 애국가의 올랭사인(Auld lang syne) 곡조를 이어서 신곡으로 변경 요청한 것을 허가해준 후이어서 중경임시정부도 자체적으로 안익태 곡으로 바꾸고 이 신곡을 애가(國歌)’로 불러왔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중국국민당은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진행시키는 가운데중한문화협회(中韓文化協會)가 출범하기에 이르렀다이 단체는 중국정부가 임시정부와의 문화적 유대를 토대로 교류를 통한 한중우호를 증진시키려는 공공외교의 채널이었다.

     

    이 무렵 중한문화협회가 인쇄비를 음악월간사 이사소에게 지원하는 형태로 중경임시정부는 한국애국가악보를 발행하게 된다김구 주석의 측근 엄항섭(嚴恒燮)와 민필호(閔弼鎬등이 준비한 자료를 토대로 발행된 이 악보는 임시정부의 위상을 홍보하는 목적과 함께광복 한국의 영도자로서 김구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애국가는 대한민국이 법통을 이어 받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경에서 발행한 마지막 출판물이며동시에 임시정부 주석의 명의로 출판된 첫 국가(國歌)의 악보(樂譜)”이다안익태 곡 애국가는 1948년 정부 수립 시에 대한민국 국가(國歌)”로서가 아니라 194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채택한 국가(國歌)”로 먼저 확정되었다.


     

     

    그런데 김구는 애국가 작사자에 대해 <한국애국가 고사(故事)>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 애국가는 50년 전에 한 한국애국지사의 수필(手筆)로 창작되었는데이미 일명(佚名이름을 잊었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