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 구름많음속초24.3℃
  • 구름많음22.2℃
  • 구름많음철원19.3℃
  • 구름많음동두천18.8℃
  • 구름많음파주17.3℃
  • 흐림대관령17.2℃
  • 구름많음춘천22.0℃
  • 구름많음백령도13.2℃
  • 구름많음북강릉23.9℃
  • 구름많음강릉25.1℃
  • 구름많음동해25.2℃
  • 구름많음서울19.8℃
  • 구름조금인천17.0℃
  • 구름많음원주22.5℃
  • 구름많음울릉도19.5℃
  • 구름많음수원19.2℃
  • 구름많음영월21.5℃
  • 구름많음충주22.5℃
  • 구름조금서산16.9℃
  • 맑음울진23.0℃
  • 구름많음청주22.5℃
  • 구름많음대전22.0℃
  • 구름많음추풍령20.0℃
  • 구름많음안동23.5℃
  • 구름많음상주23.1℃
  • 맑음포항25.9℃
  • 구름많음군산18.4℃
  • 맑음대구24.7℃
  • 구름조금전주19.7℃
  • 맑음울산22.1℃
  • 맑음창원19.0℃
  • 구름조금광주19.8℃
  • 맑음부산18.8℃
  • 맑음통영17.8℃
  • 맑음목포18.4℃
  • 맑음여수17.9℃
  • 맑음흑산도14.8℃
  • 맑음완도18.5℃
  • 구름조금고창19.8℃
  • 구름조금순천18.5℃
  • 구름조금홍성(예)18.1℃
  • 구름많음20.5℃
  • 맑음제주18.7℃
  • 맑음고산17.4℃
  • 맑음성산18.3℃
  • 맑음서귀포18.8℃
  • 맑음진주19.2℃
  • 구름많음강화16.4℃
  • 구름많음양평21.8℃
  • 구름많음이천21.1℃
  • 흐림인제22.0℃
  • 흐림홍천21.9℃
  • 구름많음태백19.1℃
  • 구름많음정선군21.8℃
  • 구름많음제천21.1℃
  • 구름많음보은21.4℃
  • 구름조금천안21.0℃
  • 구름조금보령16.5℃
  • 구름많음부여18.6℃
  • 구름많음금산20.8℃
  • 구름많음20.3℃
  • 구름많음부안19.8℃
  • 구름많음임실21.4℃
  • 구름조금정읍19.8℃
  • 구름조금남원22.4℃
  • 구름조금장수20.5℃
  • 구름조금고창군20.2℃
  • 구름조금영광군19.2℃
  • 맑음김해시19.5℃
  • 구름많음순창군21.6℃
  • 맑음북창원19.3℃
  • 맑음양산시21.1℃
  • 구름조금보성군17.4℃
  • 맑음강진군18.9℃
  • 구름조금장흥17.8℃
  • 맑음해남18.2℃
  • 맑음고흥17.8℃
  • 맑음의령군21.8℃
  • 맑음함양군21.5℃
  • 맑음광양시19.1℃
  • 맑음진도군17.5℃
  • 구름많음봉화19.1℃
  • 구름많음영주21.7℃
  • 구름많음문경21.6℃
  • 구름조금청송군21.0℃
  • 맑음영덕22.6℃
  • 구름조금의성22.3℃
  • 맑음구미24.3℃
  • 맑음영천23.9℃
  • 맑음경주시22.8℃
  • 맑음거창20.4℃
  • 맑음합천21.8℃
  • 맑음밀양21.5℃
  • 맑음산청20.6℃
  • 맑음거제17.5℃
  • 맑음남해17.8℃
  • 맑음20.4℃
울산매일 TV ‘밟아도 아리랑’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매일 TV ‘밟아도 아리랑’

605820_208552_4749.jpg

 

 


17면 기사보기 신문보기 JPG / PDF김병길 주필승인 2015.07.22 00:00댓글 0

 

아리랑은 고향을 떠나 고생하며 살면서 이산애수(離散哀愁)의 아픔을 달래는  민족의 노래다. 고려시대 이후로 귀화해 살아온 글안족이나 여진족의 이산애수와 망향이 아리랑의 뿌리라는 설도 있듯이 고통받는 한국인 사이에선 반드시 아리랑이 탄생했었다.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때 한국이민자들의 피해가 막대하다는 보도가 있자 ‘뽕 따러 거려거든 산으로 갈 것이지/ 수만리 갯가로 가 웬 봉연인가’라는 상항(桑港) 아리랑이 탄생했었다. 일본 훗카이도(北海道) 가리카쓰(狩勝) 고개의 철도 난공사에 징용으로 끌려간 한국인은 한 달에 100여 명이 죽어나갔다. 그럴 때 동료들이 울부짖으며 부른 아리랑이 있다. ‘밝아도 밟아도 죽지만 말라/ 또다시 태어나는 봄이 오리라’ 이처럼 아리랑은 밟아도 아리랑이었다. 



정유재란때 납치돼 간 일본 규슈(九州)의 한국인들이 불렀다는 아리랑이 발굴되어 CD로도 나왔다. ‘이스키(五木) 자장가’가 그것이다. 조선 침공의 선봉장 가토 ( 加藤淸正)의 구마모토성(熊本城) 축조때 강제 노동을 했던 조선포로들이 오지인 이스키에서 살면서, 고향을 그리며 읊은 노래로 구전된 것이다. 이 외에도 노랫말에서 아리랑임을 유추케 하는 대목도 있다. 도입부가 ‘아로롱 아로롱 아롱바이’ 인데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의 변음일 수 있다.

 

아리랑은 2012년과 2014년 남·북한에서 각각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 받았다. 그러나 국내 중요무형문화재가 되려면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반드시 인정해야만 된다는 법적인 문제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 문화재청은 늦었지만 법개정으로 지정을 예고했다.

 

‘날 버리고 가시는 임, 십리도 못가서 발병 나라’는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면서 오늘날까지도 활발하게 전승돼 왔다는 점에서 특정 보유자나 보유 단체가 있을 수 없는 우리 민족의 노래다.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820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