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맑음속초16.0℃
  • 맑음9.5℃
  • 맑음철원9.2℃
  • 맑음동두천10.5℃
  • 맑음파주7.9℃
  • 맑음대관령5.0℃
  • 맑음춘천10.2℃
  • 맑음백령도14.2℃
  • 맑음북강릉16.3℃
  • 맑음강릉17.3℃
  • 맑음동해13.9℃
  • 맑음서울13.8℃
  • 맑음인천13.0℃
  • 맑음원주13.2℃
  • 맑음울릉도12.8℃
  • 맑음수원10.2℃
  • 맑음영월10.0℃
  • 맑음충주9.2℃
  • 맑음서산8.5℃
  • 맑음울진12.2℃
  • 맑음청주14.5℃
  • 맑음대전11.4℃
  • 맑음추풍령12.4℃
  • 맑음안동11.3℃
  • 맑음상주14.4℃
  • 맑음포항12.4℃
  • 맑음군산11.6℃
  • 맑음대구12.0℃
  • 맑음전주13.0℃
  • 맑음울산9.5℃
  • 맑음창원11.4℃
  • 맑음광주13.2℃
  • 맑음부산12.8℃
  • 맑음통영10.9℃
  • 맑음목포12.6℃
  • 맑음여수12.6℃
  • 맑음흑산도12.7℃
  • 맑음완도12.5℃
  • 맑음고창9.1℃
  • 맑음순천8.3℃
  • 맑음홍성(예)9.8℃
  • 맑음8.3℃
  • 구름많음제주14.7℃
  • 구름많음고산14.5℃
  • 흐림성산14.9℃
  • 구름많음서귀포14.9℃
  • 맑음진주8.6℃
  • 맑음강화11.6℃
  • 맑음양평11.3℃
  • 맑음이천12.9℃
  • 맑음인제8.9℃
  • 맑음홍천10.3℃
  • 맑음태백6.6℃
  • 맑음정선군7.2℃
  • 맑음제천8.2℃
  • 맑음보은9.2℃
  • 맑음천안9.2℃
  • 맑음보령10.1℃
  • 맑음부여8.7℃
  • 맑음금산8.6℃
  • 맑음10.8℃
  • 맑음부안11.6℃
  • 맑음임실9.6℃
  • 맑음정읍9.8℃
  • 맑음남원11.1℃
  • 맑음장수8.0℃
  • 맑음고창군9.5℃
  • 맑음영광군9.8℃
  • 맑음김해시11.0℃
  • 맑음순창군10.6℃
  • 맑음북창원11.7℃
  • 맑음양산시10.0℃
  • 맑음보성군10.3℃
  • 맑음강진군10.6℃
  • 맑음장흥10.0℃
  • 맑음해남10.0℃
  • 맑음고흥9.3℃
  • 맑음의령군8.9℃
  • 맑음함양군9.0℃
  • 맑음광양시11.6℃
  • 맑음진도군10.5℃
  • 맑음봉화7.4℃
  • 맑음영주10.0℃
  • 맑음문경15.1℃
  • 맑음청송군6.9℃
  • 맑음영덕7.9℃
  • 맑음의성8.2℃
  • 맑음구미11.6℃
  • 맑음영천8.6℃
  • 맑음경주시8.4℃
  • 맑음거창8.7℃
  • 맑음합천10.8℃
  • 맑음밀양10.3℃
  • 맑음산청9.5℃
  • 맑음거제9.7℃
  • 맑음남해10.9℃
  • 맑음9.1℃
아리랑도 남북분단, 중국은 꼽사리 끼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도 남북분단, 중국은 꼽사리 끼고

공감언론 뉴시스

오피니언 > 기고

[신동립 잡기노트]아리랑도 남북분단, 중국은 꼽사리 끼고

등록 2014-06-16 13:10:04  |  수정 2016-12-28 12:54:57
associate_pic1
【서울=뉴시스】신동립의 ‘잡기노트’ <434>

 저항·대동·상생의 ‘아리랑’은 소비재가 아니다. 상징재(symbolic product)다. 한국인 근원정서의 정체성을 담고, 음악문화 창조의 토종유전자로 기능하며, 글로벌시대 문화 상호주의 정신으로 이웃나라에 내세울 만한 전통문화다.

 그러나 이러한 당위론적 명제에 안심, 관념적 향유 자세로 ‘아리랑 타령’만 즐길 상황이 못 된다는 것이 문제다.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는 2012년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이 됐다. 그런데 이번에는 북한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민요 아리랑’이라는 이름으로 아리랑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또 등재하려 들고 있다. 우리나라가 위원국인 11월 프랑스 파리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가 가부를 결정한다.

 여기에 중국까지 호시탐탐 아리랑을 노리고 있다. 2011년 아리랑, 정확히는 지린성 옌볜 자치주의 조선족 아리랑을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올려버린 것이다.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지낸 이윤구 박사(작고)는 “중국에서 매를 맞았다”, “봉변”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수치스러워했다. 한국 단독으로 유네스코의 문을 두드리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 열쇠가 바로 아리랑이라는 이유에서다.

 중국의 도발은 현재진행형이다. 중국은 2012년 북한의 ‘아리랑Ⅰ’ 음반을 발매했고, 지난해에는 영화 ‘아리랑’을 북한과 공동 제작했다. 아리랑이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도 중국은 북한과 손잡고 마지막까지 훼방을 놓았다.

 중국 조선족의 음악교과서는 북의 논리와 주장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기미양 벤처아리랑 대표가 ‘밀양아리랑의 창조적 계승’ 등 일련의 논문을 통해 밝혀냈다.

associate_pic2
【서울=뉴시스】신동립의 ‘잡기노트’ <434>  저항·대동·상생의 ‘아리랑’은 소비재가 아니다. 상징재(symbolic product)다. 한국인 근원정서의 정체성을 담고, 음악문화 창조의 토종유전자로 기능하며, 글로벌시대 문화 상호주의 정신으로 이웃나라에 내세울 만한 전통문화다.  문화부장 reap@newsis.com  
 의무교육 조선족학교 7학년(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상권에서 확인된다. ‘노동인민의 사회실천, 집단적 지혜화 재능에 의하여 창조’된 것이 민요라면서 ‘봉건적 압제와 수난에 몸부림치던 조선민족의 고통과 불행’으로 불려졌다고 가르친다. 계급투쟁 노래라는 얘기다. 교과서에는 1976년 ‘장군님의 정력적인 영도의 세심한 지도로 창작완성’시켰다는 ‘관현악아리랑’도 수록됐다.

 북한과 중국의 이 같은 공세는 아리랑이 한민족의 상징재라는 명제를 무색케 한다. 흐름대로라면 우리 아리랑과 북한·중국의 아리랑이 유네스코에 나란히 등재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아리랑 연구의 권위인 김연갑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는 “북한과 교류를 서둘러야 한다. 대한민국의 아리랑 유네스코 단독등재를 남북공동 등재로 바꾸고 공동 연구와 사업을 통해 동질성을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정부는 중국의 아리랑 탈취 움직임에 대해 “우리 아리랑의 아류”라며 깔아뭉개거나, 북한이 민족제일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아리랑 민족과 아리랑 종자론를 내세워 상징적 코드를 정치와 결합시켰다”며 최근까지도 비판만 하고 있었다.

 대한민국과 이북은 아리랑으로 교집합을 이룬다. 민족을 대표하는 노래로 공히 아리랑을 첫손에 꼽는다. 싫든, 좋든 인정해야 하는 사실이다.

 문화부장 reap@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첨부파일 다운로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