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맑음속초9.6℃
  • 맑음12.6℃
  • 맑음철원13.3℃
  • 맑음동두천16.8℃
  • 맑음파주14.4℃
  • 맑음대관령5.0℃
  • 맑음춘천14.8℃
  • 구름조금백령도11.1℃
  • 맑음북강릉9.3℃
  • 맑음강릉11.1℃
  • 흐림동해12.3℃
  • 맑음서울18.6℃
  • 맑음인천16.9℃
  • 흐림원주18.2℃
  • 안개울릉도12.8℃
  • 맑음수원16.1℃
  • 흐림영월14.2℃
  • 흐림충주16.3℃
  • 맑음서산14.1℃
  • 흐림울진12.6℃
  • 흐림청주16.8℃
  • 흐림대전15.6℃
  • 흐림추풍령13.0℃
  • 흐림안동14.3℃
  • 흐림상주14.3℃
  • 흐림포항14.7℃
  • 흐림군산16.7℃
  • 흐림대구13.9℃
  • 흐림전주16.4℃
  • 비울산12.7℃
  • 흐림창원14.9℃
  • 흐림광주16.0℃
  • 흐림부산14.2℃
  • 흐림통영14.2℃
  • 비목포15.2℃
  • 흐림여수15.2℃
  • 흐림흑산도13.8℃
  • 흐림완도15.8℃
  • 흐림고창14.8℃
  • 흐림순천14.9℃
  • 맑음홍성(예)16.4℃
  • 흐림15.2℃
  • 비제주15.6℃
  • 흐림고산15.3℃
  • 흐림성산15.3℃
  • 흐림서귀포17.8℃
  • 흐림진주14.3℃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6.2℃
  • 구름많음이천16.3℃
  • 맑음인제10.9℃
  • 맑음홍천13.9℃
  • 흐림태백9.1℃
  • 흐림정선군11.0℃
  • 흐림제천14.1℃
  • 흐림보은14.5℃
  • 흐림천안16.3℃
  • 맑음보령14.6℃
  • 흐림부여16.6℃
  • 흐림금산14.4℃
  • 흐림16.2℃
  • 흐림부안16.2℃
  • 흐림임실15.0℃
  • 흐림정읍15.3℃
  • 흐림남원15.0℃
  • 흐림장수13.5℃
  • 흐림고창군15.5℃
  • 흐림영광군14.6℃
  • 흐림김해시14.4℃
  • 흐림순창군15.5℃
  • 흐림북창원15.4℃
  • 흐림양산시14.9℃
  • 흐림보성군15.6℃
  • 흐림강진군15.7℃
  • 흐림장흥15.6℃
  • 흐림해남16.0℃
  • 흐림고흥15.1℃
  • 흐림의령군15.1℃
  • 흐림함양군14.0℃
  • 흐림광양시15.0℃
  • 흐림진도군15.2℃
  • 흐림봉화13.0℃
  • 흐림영주14.3℃
  • 흐림문경14.3℃
  • 흐림청송군13.1℃
  • 흐림영덕13.7℃
  • 흐림의성14.7℃
  • 흐림구미14.5℃
  • 흐림영천13.7℃
  • 흐림경주시13.8℃
  • 흐림거창13.0℃
  • 흐림합천14.2℃
  • 흐림밀양15.7℃
  • 흐림산청13.8℃
  • 흐림거제14.3℃
  • 흐림남해14.7℃
  • 흐림15.8℃
2009 세계민족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움 ,스미소니언박물관장에게 아리랑 음반 기증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9 세계민족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움 ,스미소니언박물관장에게 아리랑 음반 기증

자연사박물관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장


 

세계 민속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엄

<박물관의 과거.현재.미래>

 

일시: 2010년 6월 14일  월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주최: 국립민속박물관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IMG_0913.JPG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 박물관 : 박물관이 개발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어려움 The National Museum of the American Indian : The Challenges of New Paradigms in Museology 리챠드 웨스트(W. Richard West Jr.,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박물관 명예관장, 미국)

 

 

03 환영사

03 축사

03 프로그램

03 기조 연설

국립인류학박물관 : 21세기 한국사회에 왜 필요한가?

전경수(서울대학교 교수, 한국)

03 주제 발표 1

민족학박물관의 임무

스티븐 앵겔스만(Steven Engelsman, 라이덴 민족학박물관 관장, 네델란드)

03 주제 발표 2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 박물관 : 박물관이 개발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어려움

리챠드 웨스트(W. Richard West Jr.,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박물관 명예관장, 미국)

03 주제 발표 3

변환-민족학박물관의 새로운 담론을 향하여

아마레스워 갈라(Amareswar Galla, 퀸스랜드대학 교수, 호주)

03 주제 발표 4

21세기 민족학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의 사례 -

사사키 시로(佐佐木史郞 오사카 국립민족학박물관 부관장, 일본)

03 주제 발표 5

현대 유럽 수도의 민족학박물관이 직면한 어려움과 해결책

블프 퀘프케(Wulf Köpke,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관장, 독일)

03 주제 발표 6

21세기 민족학박물관의 컬렉션 : 전시, 출판, 집적 - 러시아과학아카데미 표트르대제 인류학 · 민족학박물관의 사례 -

유리 치스토프(Yuri K. Chistov,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상트페테르부르크 표트르대제 인류학 · 민족학박물관 관장, 러시아)

Welcoming address 03

Congratulatory address 03

Program 03

Keynote Speech 03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 Why the 21st Century Korean Society Need It?

Chun, Kyung-soo(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entation 1 03

The Mission of the Ethnological Museum

Steven Engelsman(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Leiden, Netherlands)

Presentation 2 03

The National Museum of the American Indian : The Challenges of New Paradigms in Museology

W. Richard West Jr.(The National Museum of the American Indian, USA)

Presentation 3 03

Transformations - Towards a New Discourse of Ethnology Museums

Amareswar Galla(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Presentation 4 03

The Roles and Tasks of the Ethnological Museum in the 21st Century

- From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in Japan -

Sasaki Shiro(National Museum of Ethnology, Osaka, Japan)

Presentation 5 03

Challenges and Possible Answers for an Old Ethnographical Museum in a Modern European Capital

Wulf Köpke(Museum of Ethnology, Hamburg, Germany)

Presentation 6 03

Collections of Ethnographic Museum in the 21st Century : Accumulating, Exhibiting, Publishing

- The Case of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St. Petersburg, Russia -

Yuri K. Chistov(Peter the Great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Kunstkamera, Russia)

 

 

IMG_0912.JPG
아마레스워 갈라(Amareswar Galla, 퀸스랜드대학 교수, 호주)

  

 

 

 

 

세계 민족학박물관장들 서울에 모인다

송고시간2010-06-08 06:10


세계 민족학박물관장들 서울에 모인다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세계의 대표적인 민족학박물관 관장들이 서울에 모인다.


국립민속박물관은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부회장인 리처드 웨스트 주니어 미국 스미스소니언 인디언박물관장을 비롯해 일본, 네덜란드, 독일, 호주, 러시아 등의 민속학ㆍ인류학 관련 박물관장을 초청해 1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세계민족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엄'을 연다고 8일 말했다.



'민족학박물관의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전경수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의 기조연설과 민족학ㆍ인류학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어려움과 해결책 등에 대한 고민을 담은 각국 박물관장의 발표가 이어진다.



전 교수는 기조 연설에서 한국에 인류학박물관을 세워야 하는 당위성을 주장할 예정이다.


스테번 엥엘스만(Steven Engelsman) 네덜란드 레이던(Leiden)민족학박물관장은 발표를 통해 한국이 선도적인 산업국가로 부상해 다문화사회가 될 것이라며 민족학박물관을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고 강조한다.


불프 쾹케(Wulf Köpke)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장은 그동안 자국민에게 이국적인 유물을 보여주는 역할을 해온 민족학박물관이 다문화시대를 맞아 이주민 모임의 중심지로 변신한 사례를 소개한다.


comma@yna.co.kr

 

왜 ‘민족학박물관’인가
  •  정지선 기자
  •  승인 2010.06.24 16:08
  •  댓글 0

 
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서 길잡이 역할 해줄 민족학박물관 필요

[서울문화투데이=정지선 기자]거리를 오가며 외국인들을 만나고 눈인사하는 일은 이제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유리관 속 유물 관람보다 더 필요한 것은 공연을 보고, 요리를 만들어보는 등의 오감을 통한 민족문화 체험활동이다

 

관광 뿐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 한국으로 건너 온 사람도 있으며, 학업을 위해 한국 대학을 찾는 이들도 많다. ‘단일민족’이라는 말도 이젠 옛 말이 된 지 오래다. 하지만 아직도 외국인들을 신기한 듯 바라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는 커녕 피부색과 언어만 달라도 쉽사리 눈을 떼지 못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에는 아직 존재치 않는 ‘민족학박물관’의 필요성을 논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 14일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이 개최한 ‘세계 민족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엄’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민족학박물관의 필요성과 다문화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해 다뤄봤다.

민족학박물관의 과거서 엿본 ‘미래’

우리나라는 아직 갖고 있지 않지만 유럽을 포함해 나라마다 적어도 하나씩은 갖고 있는 박물관이 바로 민족학박물관이다. 유럽의 민족학박물관들은 원래 식민지의 보물을 보여주기 위한 공간으로 설립됐다. 지금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성격도 변해 대부분의 민족학박물관은  학술적인 공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스티븐 앵겔스만 라이덴 민족학박물관(네덜란드) 관장은 미래를 위해 민족학박물관이 가져야 할 중요한 임무에 대해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과 같이 문화다양성을 기리는 것” 이라며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에 의하면, 생물다양성이 자연에 필요한 것과 같이 문화다양성은 인류에게 필요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편, 유리 치스토프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상트페테르부르크 표트르대제 인류학 · 민족학박물관 관장은 초기 유럽 민족학박물관의 생성을 유럽인들의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동경에서 비롯됐다고 말한다. 그는 "유럽인들의 활발한 탐험과 이를 통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에 기반했다”며 "유럽인들이 그들의 문화와 달리 이질적인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에는 아시아 전통문화와 사람에 대한 동경이 크게 작용했다”고 밝혔다.

19세기 후반으로 넘어오면서 유럽의 민족학박물관들은 국제무역의 거점으로 발달한 도시를  중심으로 세워졌다. 이는 시대가 흐름에 따라 박물관의 역할이 달라졌고, 그 당시의 박물관은 자신들의 경제적인 번영을 외부에 자랑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 여겼기 때문이다. 암스테르담과 바젤,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 등의 민족학박물관이 설립된 배경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이렇듯 민족학박물관의 설립은 대부분의 국가재산으로 지어지는 박물관이 그렇듯이 우수한 민족임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과 함께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을 실감, 더 많은 관람객을 확보하고 소통하기 위해 살아있는 박물관이 되기 위한  방법론을 고민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한 것이었다.

 

▲워싱턴에 위치한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박물관의 전시물 중 인디언 의상

 

새 패러다임, 살아있는 박물관

독일 함부르크 박물관은 설립 직후 빠른 외형적인 성장을 이뤘다. 초창기부터 유럽문화와 독일 고유의 문화 산물을 지속적으로 수집해오면서 20만여 점의 전시물과 40만여 점의 사진,  10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한 민족학 서고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놀람을 금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물관은 현실의 풍부한 생기를 따라가긴 역부족이었다. 함부르크 박물관으로선 변화가 불가피했던 것이다. 물론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어려웠지만 박물관이 갖고 있는 자산이 가진 문화, 예술적 가치에 대한 독일 사회의 인식이 충분하다고 판단, 새로운 슬로건 아래 도전을 감행했다.

블프 퀘프케 관장은 "박물관의 슬로건을 ‘모든 문화를 위한 하나의 건물’이라 정하고, 새로운 관람객층 즉, 이민자들과 같이 비교적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을 고려해 접근방식을 바꿔나갔다”며 "이는 일반적으로 박물관 텍스트들이 고등교육의 배경 없인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해 기획한 것으로, 문맹인 사람조차 관람객으로 맞이할 수 있도록 변화를 꾀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서는 많은 이주민 공동체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기획, 전시유물들과 비슷한 도구를 이용해 요리하거나 음악을 연주하면서 전시물들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작업을 진행했다.

박물관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시도는 미국 스미스소니언 아메리칸 인디언박물관(이하 인디언박물관)에서도 진행, 지난 15년간 새 패러다임을 개발했다. 인디언박물관이 지금의 살아있는 박물관의 모습을 갖춘 것은 박물관 운영 초기부터 뚜렷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우선 전시 기획 단계부터 미주 원주민공동체들을 참여시켜 전시물 자체보다는 그들의 아이디어에 중점을 뒀다.

긴 준비과정을 거쳐 2004년 개관했을 때, 로저 케네디 스미스소니언 국립 미국역사박물관 명예관장은 인디언박물관의 철학과 접근방식에 대해 "‘어떻게’ 만큼이나 중요한 질문은 ‘왜’일 것이다. ‘왜’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의외로 간단하다”며 "미주 원주민들의 세계관은 일반적인 서구의 문화 패러다임과 간극이 존재하는데, 미주 원주민들의 시각에서 박물관에 전시된 하나의 사물은 그것의 창조를 이끌어낸 일련의 과정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순 없다”고 말했다. 그의 말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박물관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전시된 유물 그 자체보다는 그 유물이 갖고 있는 이야기와 유물에 접근하는 방식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19세기 후반으로 넘어오면서 유럽의 민족학박물관들은 국제무역의  거점을 중심으로 세워졌다. 사진은 함부르크 항구
▲대부분의 박물관에서 범하고 있는 오류 중 하나는 쌍방향이 아닌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도 민족학박물관이 필요하다?!

시대가 원하는 박물관이 따로 존재할까. 물론 그렇다. 지금은 21세기, 우리사회에 필요한 박물관은 다양한 문화를 담을 수 있는 박물관이다. 21세기 들어서면서 한국사회는 급격하게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지만 그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 스티븐 앵겔스만 라이덴 민족학박물관 관장은 한국의 민족학박물관 설립 필요성에 대해 두 가지로 설명했다. "하나는 한국의 인구가 다른 나라에서 이민 온 사람들로 인해 점차 다양해지면서 다른 문화를 인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이 세계에서 산업국가로 부상하면서 다문화 세계의 인구를 어떻게 대면할 것인지에 알아야하기 때문”이라고 논했다.

그렇다. 현재 우리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가기 위한 길목에 이미 들어섰으며, 그들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육의 장이 필요하다. 전경수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는 교육장으로서의  박물관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선 교육받는 사람의 입장을 고려해야한다고 말한다. "원래 교육이란 쌍방소통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현상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람들이 일렬로 서서 전시품을 감상만 하고 지나가도록 만들어 놓은 곳은 교육장으로서는 영점”이라며 "교육을 받는 사람들이 질문도 할 수 있고, 전시된 것들을 만질 수도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전시된 것과 유사한 것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됨으로써 교육장으로서의 박물관은 제대로 된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 아직도 많은 박물관들이 교육장을 표방하면서도 범하고 있는 오류 중 하나다.

대부분의 박물관이 범하는 또 다른 오류는 과거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흔히 과거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방법을 찾고, 나아가 미래로 나아갈 방향성도 제시한다고들 말한다. 그렇다면 박물관에서도 충분히 미래를 엿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전경수 교수는  우리 스스로는 역사를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남의 역사와 비교도 해보고, 남의 역사에 비춰 우리의 것들을 바라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인간의 삶을 이해하려는 순리를 따라가는 박물관이라면, 최소한 우리의 것에 관심을 갖는 것만큼 남의 것에 대한 알고 싶은 욕구도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면서 "더욱이 ‘세계화’라는 국가적인 과제를 생각할 때, 한국사회에서 박물관의 세계화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민족학박물관의 설립은 이제 시대의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이제부터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누구를 대상으로 할 것이며,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 민족학박물관을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고민 말이다. 철저하게 밑그림을 그린 뒤 시작해야 다문화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민족학박물관을 만들 수 있다. 또 그래야 제 역할을 다해낼 수 있다.

지난 14일 외국 주요 민족학박물관 관장 및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 심포지엄을 가졌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독일의 블프 퀘프케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관장은 ‘현대 유럽 수도의 민족학박물관이 직면한 어려움과 해결책’에 대해 발표하면서 민족학박물관의 역할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본지에서는 블프 퀘프케 관장을 만나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이 독일 다문화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으며, 한국의 경우 민족학박물관 설립에 앞서 어떤 고민이 선행돼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함부르크의 이주민 사회 비중이 전체인구의 20%를 차지, 민족학박물관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을 고려해 접근방식을 바꿨다고 들었다. 박물관에 가는 게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어떻게 관람객으로 유치했는지 그 방법이 궁금하다.

그들을 끌어들이기 이전에 박물관에서 그들에게 먼저 다가갔다. 그러기 위해선 소통이 중요한데, 아무하고와 소통한 게 아니라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고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눴다.  행사를 준비할 때도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지 않으면 형식적인 행사가 될 수밖에 없다. 18년 전 관장을 맡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인들이 주최가 된 행사를 진행한 적이 있다. 우리 박물관은 재정적인 지원만 담당했는데, 결과는 좋지 않았다. 한국인들은 공연도 보여주고 김치 등 음식을 대접하면서 즐거워보였지만 그 행사가 형식적이라서 일까. 정작  독일인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 행사를 통해 일방적인 지원보다는 실제적인 경험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은 이주민공동체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기획하고 있는데, 그들의  문화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어떤 식으로 제공하고 있나.

전시기획단계부터 이주민들을 참여시킴으로써 그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시킨다. 우리 박물관 내 아프리카관을 만들 때 역시 그들의 의견을 최우선적으로 반영했는데, 기획단계 뿐 아니라 전 단계를 협력 하에 진행했다. 우리 박물관에서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전시를 추진 중이다. 상설전은 아니고 기획전을 준비 중이며, 3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상설전이 아닌 기획전으로 추진하는 것은 관람객들이 금방 실증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만일 한국에 민족학박물관이 생긴다면, 다른 나라의 박물관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게되리라 생각된다. 설립에 앞서 어떤 고민부터 시작해야하는가.

민족학박물관을 세우기에 앞서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은 ‘왜 박물관이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이다. 또한 누가 혜택을 받을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새 박물관을 세우기 전에 기존의 박물관에서 다문화를 다룰 순 없는지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는 박물관 자체에서는 다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정부의 관심을 끌어내는 것이야말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박물관이 소통이나 교육의 장 보단 보물창고로서의 인식이 강하다. 이런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물론 박물관은 보물창고로서의 인식이 강하다. 이는 대부분의 박물관이 아직도 유물 중심이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유물보단 유물이 가진 의미에 대해 표현해야 한다. 방식은 스토리텔링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물 제작에 얽힌 사연을 전시를 통해 이야기하면서 유물이 말을 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우리 박물관에 나이든 한 할머니가 자신의 재봉틀을 기증하고 싶다고 찾아온 적이 있었다. 재봉틀 자체만 놓고 본다면 그냥 옷을 만드는 도구에 그치지만 그 할머니의 재봉틀은 사연을 갖고 있었다. 할머니는 동독에서 서독으로 넘어가면서 한 손에는 봇짐 하나, 다른 한 손은 재봉틀을 챙겼던 것이다.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그  재봉틀이 할머니에게 어떤 존재였는지, 어떤 역경을 거쳤는지 다양한 이야기로 풀어내는 게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 재봉틀은 아직도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중요한건 유물보다 유물이 가진 이야기이다.

박물관이 다른 여러 문화의 사람들을 위한 모임 장소로서 변화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고 들었는데, 박물관은 어떤 공간이라고 생각하는가.

박물관은 사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곳이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곳이다. 한 예를 들겠다.  독일 이민자사회에서 사건이 발생했는데, 독일경찰들은 그들에 대한 이해나 인식이 거의 전무했다. 우린 경찰청에 직접 찾아갔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설득해 경찰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가졌다. 결과와 반응은 물론 좋았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개선의 첫 걸음은 그들에 대한 이해라는 점을 다시금 실감했다.

인터뷰/ 정리 정지선 기자 press@sctoday.co.kr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53 

"민족학박물관 통해 다문화사회 정착했어요"

송고시간2010-06-15 15:34

  
 
  
 
불프 쾨프케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장
불프 쾨프케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장

불프 쾨프케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장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독일 함부르크에서는 터키인 이민자와 기존 독일인 사이에 마찰이 심했어요. 그런데 터키인과 터키 문화를 이해하는 프로그램을 민족학박물관이 진행하고 나서는 터키인 관련 범죄율이 줄었다는 통계가 나왔죠. 민족학박물관이 다문화사회 갈등 해결에 효과가 있다는 게 증명된 셈입니다."

무려 18년 동안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장으로 일하는 불프 쾨프케 관장은 '단일민족 신화'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 한국에 많은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14일 '민족학박물관의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주제로 열린 '세계민족학박물관장 초청 국제심포지엄' 참석차 방한한 쾨프케 관장은 재임 중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을 일부 지식층뿐 아니라 어린이와 이주민, 다문화가정 등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박물관으로 만들었다.

또 그가 기획한 축제 등 여러 프로그램은 다문화사회 정착에 크게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5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만난 그는 "박물관은 단순히 유물을 보여주는 곳이 아니라 사회에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곳"이라며 "독일에서도 경찰이 이민자들을 인종차별적으로 대우해서 문제가 됐던 적이 있지만 경찰관들에게 다문화교육을 시행하자 이들이 이민자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기업 대상 교육이나 일반인 대상 프로그램도 상당한 효과를 봤다. 가령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에서는 독일인 매니저와 이민자 직원 사이에 마찰이 많았지만 독일인 매니저들이 다문화교육을 받고 나서는 이민자들에게 자신들이 잘못 대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는 것이다.

독일인들이 편견을 갖지 않게 하려고 처음에 고학력 이민자들을 먼저 만나 대화를 나누도록 하는 방법을 택했다.

"교육 후에 독일인 매니저들은 '우리가 그들을 더 잘 대우해줬다면 레스토랑 운영도 더 잘할 수 있었을 텐데 그동안 엉뚱한 데 돈을 낭비하고 있었다'고 말하더군요."

일반인들에게는 축제를 통해 여러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각국의 축제를 이민자들이 직접 기획하고 시행하도록 하고, 박물관은 이 축제를 행정적ㆍ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실제로 한국인들이 중심이 돼 축제가 진행됐던 적도 있었다. 행사의 주최가 한국인이 되고 박물관은 후원을 맡았던 만큼 축제는 철저히 한국의 관점에서 진행됐다.

"한국인들은 신이 나서 한국 문화를 소개했습니다. 한국어와 한글을 알리고 한복을 뽐냈으며 김치를 맛볼 수 있게 했지요. 축제를 통해 그들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도 처음에는 이같이 않았다. 한국인들에게 돈을 주고 탈춤을 보여달라거나 김치를 만들어달라고 해서 공연하고 전시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그렇게 마련한 행사는 살아있는 행사도 아니었고 너무 형식적이어서 독일인들도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축제는 달랐다. 신기하게도 독일인들까지 이 다문화축제를 즐겼다. 그들은 축제를 통해 자신들이 그동안 잘 몰랐던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접하고 한국이 어떤 나라이며 한국인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궁금해했다. 민족학박물관을 찾는 관객이 늘어난 것은 물론이다.

그는 이런 축제가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나와 같은 인격체로 여기게 한다고 했다.

"독일에는 포르투갈인 가정부가 많습니다. 포르투갈 축제를 하기 전까지 독일인들은 그들을 그저 가정부로 여겼어요. 하지만 축제를 통해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진 장기와 전문성을 보게 되자 독일인들의 생각이 달라졌지요."

하지만 이제 막 다문화사회에 접어든 한국에는 민족학박물관이 없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은 주말마다 대학로 등 곳곳에서 좌판을 벌이지만 이 과정에서 한국인들과의 융화는 거의 없다.

이런 상황에 대해 그는 "한국 정부에서 다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며 "다문화사회에서 민족학박물관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면 곧 설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족학박물관이 이민자들은 물론이고 한국사회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면 설립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comma@yna.co.kr

첨부파일 다운로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