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아리랑칼럼] (19)다시 읽는 'Song of Ariran'(1)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칼럼] (19)
다시 읽는 'Song of Ariran'(1)

기찬숙/아리랑학회 연구이사

  • 특집부
  • 등록 2021.01.09 07:30
  • 조회수 61,237
1941.jpg
[국악신문] 김산과 님웨일즈 공저 Song of Arirang’ 1941년 출판. 소장자:기찬숙

    

금년은 아리랑에 관한 책으로 매우 의미있는 ‘Song of Arirang’이 간행된지 80년을 맞는 해이다. 아리랑 역사의 빛나는 보석 같은 존재이다.

 

우리 현대사에서 아리랑을 표제로 한 책은 10여종에 이른다. 1945년까지의 상황으로는 1930년대 초 창가집류가 5종으로 映畵名曲아리랑唱歌’(1930), ‘아리랑民謠集’(1930), ‘現代映畵아리랑唱歌集’(1931), ‘아리랑民謠集’(1931), ‘현대유행신아리랑창가(’1932)가 있고, 1935년 이후 일본어 표기 의 朝鮮民謠アリラン’(1935년 김지연)과 소설 ありらん’(1938년 김문집)가 있다. 그리고 영어로 쓰여진 ‘Song of Arirang’이 있다. 이중에 마지막의 영어로 쓰여진 것은 1941년 의외의 미국에서, 의외의 미국인 여기자 님 웨일스(Nym Wales. 본명:Helen Foster Snow, 1907~1997)가 조선인 김상의 생애를 전기체로 쓴 책이다. 창가책 5종은 ()아리랑연합회 소장자료로 서지사항이 밝혀졌고, 일본어 표기 중 김지연의 朝鮮民謠アリラン에 대해서는 필자의 연구논문이 있고, 김문집의 단편집 ありらん역시 최근 연구논문(동의대 신용주)이 발표되어있다. 그러나 ‘Song of Arirang’에 대해서는 그 유명세에 비해 서평에 머무르는 듯하다.

 

필자는 학부 졸업논문으로 ‘Song of Arirang’ 소재 아리랑 연구를 제출하면서 이 책을 탐독했다. 2001년 스터디 모임 아리랑아카데미에서 백선기(소설가 김팔봉의 서랑)선생과 김연갑선생으로부터 님 웨일즈 방문기를 듣게 되었다. 그리고 2005년 주인공 김산(1905~1938)의 아들 고영광 선생을 초청, 부친의 건국훈장 애국장 서훈식 참석을 도운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그동안 책을 통해 풀지 못한 몇 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예컨대 저자 님 웨일즈가 노벨상에 두 번(1981~2)이나 노미네이트(nominate) 되었다고 했는데, 그것이 'Song of Arirang'을 대상으로 한 문학상인지의 여부였다. 결과는 중국 속의 조선인 항일투쟁가들을 기록하여 일본 제국주의를 고발했다는 평가로 문학상이 아닌 평화상의 후보지명이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님 웨일즈는 김산에 대해 단순한 취재원이었을 뿐인가라는 의문이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갖고 있는 의문이었을 것인데, 직접 만난 두 분과 고영광선생의 증언으로는 3개월 간 22회의 밀회 같은 인터뷰’이었을 뿐이고, 고매한 열정의 혁명가를 격려하는 관계였을 뿐, 연인 관계까지 갔다는 증거는 없다고 했다.

 

그리고 19381019, 중국 공산당 사회부장 캉성(康生)의 명령으로 처형되었을 때, 그 죄목은 무엇이었는가라는 문제다. 이는 아들 고영광에 의한 복권(1983) 신청과 심사 과정에서 밝혀졌는데, ‘반혁명죄와 간첩죄였다. , 트로츠키(Leon Davidovich Trotsky)파라는 이유와 일본 경찰에서 큰 고초 없이 풀려난 것이 의심스럽다는 이유로 간첩죄로 몰렸던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복권 심사과정에서 확인되었다. 공산당 문서에서는 "변명하지 않는 미련한 자란 기록과 일본 기록에는 "결코 변절하지 않을 놈이란 기록이 나와 결국 무협의로 복권되었다는 것이다.

 

KakaoTalk_20210109_151116437.jpg

[국악신문]필자 (김산연구회 기찬숙 회장)가 김산의 아들 고영광 선생에게 원전 <아리랑>(1941년 출판)을 기증했다. 전날 KBS뉴스팀에 연락을 했더니 이날 기증식이 당일 KBS 9시뉴스에 방영되면서 이 책의 존재가 다시 한번 알려졌다.. 장소:라마다호텔, 2002-12-24. .

 

그러나 아직도 풀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일본의 이회성 작가나 중국의 고영광 등에 의해 자료가 발굴되면서 해결되었으나, 정작 아리랑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아리랑 문제란 김산이란 인물 연구와 Song of Arirang이란 텍스트 연구의 근본 문제인데, 결정적으로 과연 김산은 언제, 어떤 계기에 아리랑을 접하고, 가슴으로 인식하게 되었는가라는 의문이다. 혁명에 대한 신념만큼이나 돋보이는 아리랑에 대한 명징한 표현들은 단순한 이해 정도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시기의 지식인들, 이광수도, 최남선도, 김소운도 여기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모든 서평이나 김산을 언급하는 이들이 하나 같이 하는 말에는 "님 웨일스라는 탁월한 기록자가 연안에 나타나지 않았다면 장지락(김산의 본명)은 그의 다른 무수한 동지들처럼 홍진에 묻혀 사라졌을 것이다.”라는 표현을 한다. 그러나 무수한 동지들중에 이토록 아리랑을 절절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인물은 오직 김산 한 사람뿐임이 분명하다. 그것은 유난히도 높고 깊은 고개를 넘고 넘은 그의 생애에서 알 수 있다.

 

DSCN9091.jpg
[국악신문] 대구아리랑제-소리극 '김산의 아리랑' (주관:영남아리랑보존회)행사에 초청을 받고 북경에서 대구에 온 김산의 독자 고영광 선생이 'Song of arirang & 김산' 문헌전시회(주관:벤처아리랑)에서 필자와 함께. 가운데가 고영광 선생이다. 2007-08-15

 

1917년 개신교 계열 중학교에 진학, 3.1 운동에 참가하다 체포되어 3일간 구류 처분을 계기로 도일하였다. 1922년 상해로 가 김성숙을 만나 마르크스주의를 배우고, 고려공산당 이르쿠츠크파 베이징 지부에 입당하고, 공산주의 잡지 혁명을 간행하고, 1926혁명동맹편집을 맡아 선언문을 작성했다.

 

1927년에는 황푸군관학교 교관을 맡으며 1930년까지 홍콩, 상하이, 베이징 등지에서 활동하다 베이징 경찰에 체포, 일본 영사관으로 넘겨진 뒤 조선에서 심문을 받다 다음해 4월 풀려나 다시 베이징으로 가서 사범학교 교사로 생활했다. 19334월 중국 국민당 경찰에 붙잡혀 다음해 탈출하였다. 이후 잠시 철도 노동자로 일했고, 19367월에 상하이에서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창설하고, 8월에는 조선 혁명가 대표로 선발되었다. 1937년에는 항일 군정 대학에서 물리학, 화학, 수학, 일본어, 한국어를 강의하였다. 님웨일즈를 만날 때까지의 이 굴곡진 역정을 김산 말고 산 이가 또 있는가.

 

분명 이 파란의 과정에서 김산은 아리랑을 접하고 이해했을 것이다. 그 구체적인 계기는 언제, 어디서였을까?

 

참고: <김산. 그리고 아리랑> www.arirangnar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