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속초12.8℃
  • 구름많음17.0℃
  • 구름많음철원16.3℃
  • 구름많음동두천15.6℃
  • 흐림파주13.0℃
  • 흐림대관령12.1℃
  • 구름많음춘천17.6℃
  • 흐림백령도11.1℃
  • 황사북강릉13.1℃
  • 구름많음강릉14.2℃
  • 흐림동해13.9℃
  • 구름많음서울16.4℃
  • 구름많음인천14.0℃
  • 구름많음원주18.2℃
  • 구름많음울릉도17.5℃
  • 구름많음수원14.5℃
  • 흐림영월16.5℃
  • 구름많음충주16.2℃
  • 흐림서산14.0℃
  • 구름많음울진14.8℃
  • 흐림청주19.3℃
  • 흐림대전18.3℃
  • 흐림추풍령17.7℃
  • 구름많음안동18.7℃
  • 흐림상주19.5℃
  • 흐림포항18.6℃
  • 흐림군산14.3℃
  • 흐림대구20.8℃
  • 흐림전주18.5℃
  • 황사울산17.7℃
  • 흐림창원16.6℃
  • 구름많음광주19.3℃
  • 황사부산16.6℃
  • 흐림통영15.1℃
  • 흐림목포17.1℃
  • 구름많음여수16.8℃
  • 흐림흑산도13.9℃
  • 흐림완도15.6℃
  • 구름많음고창14.4℃
  • 흐림순천14.1℃
  • 흐림홍성(예)15.3℃
  • 흐림15.7℃
  • 황사제주17.7℃
  • 흐림고산17.2℃
  • 흐림성산16.7℃
  • 황사서귀포18.2℃
  • 흐림진주17.5℃
  • 흐림강화11.9℃
  • 구름많음양평17.7℃
  • 구름많음이천17.6℃
  • 구름많음인제17.0℃
  • 흐림홍천17.0℃
  • 흐림태백12.5℃
  • 흐림정선군15.1℃
  • 구름많음제천14.5℃
  • 흐림보은15.3℃
  • 흐림천안15.7℃
  • 흐림보령14.6℃
  • 흐림부여14.8℃
  • 흐림금산16.4℃
  • 흐림17.0℃
  • 흐림부안15.1℃
  • 흐림임실14.8℃
  • 흐림정읍15.5℃
  • 흐림남원16.5℃
  • 흐림장수13.5℃
  • 구름많음고창군14.6℃
  • 흐림영광군14.8℃
  • 흐림김해시17.8℃
  • 흐림순창군16.3℃
  • 흐림북창원18.8℃
  • 흐림양산시16.9℃
  • 구름많음보성군14.7℃
  • 흐림강진군15.9℃
  • 흐림장흥14.1℃
  • 흐림해남13.5℃
  • 구름많음고흥13.5℃
  • 흐림의령군16.2℃
  • 흐림함양군15.9℃
  • 흐림광양시16.9℃
  • 흐림진도군14.1℃
  • 흐림봉화14.9℃
  • 흐림영주17.0℃
  • 흐림문경18.3℃
  • 흐림청송군13.8℃
  • 구름많음영덕16.9℃
  • 구름많음의성15.1℃
  • 흐림구미17.8℃
  • 흐림영천16.8℃
  • 흐림경주시18.3℃
  • 흐림거창15.9℃
  • 흐림합천17.7℃
  • 흐림밀양17.3℃
  • 흐림산청17.1℃
  • 흐림거제17.8℃
  • 흐림남해15.8℃
  • 흐림16.8℃
아이는 정말로 잘못이 없다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이는 정말로 잘못이 없다오

이백열여덟 번째 이야기
아이는 정말로 잘못이 없다오
   

 

계모여 계모여 아이를 때리지 말아라
아이를 때리는 건 그렇다 쳐도 아이를 죽이지는 말아라
아이는 정말로 잘못이 없다오
울 안에 있는 대추 아이는 먹지 않고
통발에 있는 물고기 아이는 가져가지 않았다네
어젯밤 꿈에서 본 우리 엄마
부엌에 들어가 음식을 하고 문을 나와 물을 긷더군요
슬픔을 삭이며 소리 내지도 못하더라
창고에는 온갖 곡식 담긴 상자에
집 안에는 계수나무로 들보를 만들었네
새매가 그려진 당에는
사방에 향주머니 있고
온갖 보물로 장식한 옷은
아침 햇살을 받아 광채가 번쩍이네
아이는 굶주림에 괴롭고 추위에 떨어도 감히 그 곁을 쳐다보지도 못하네
마당 앞의 참새 둥지에
참새 날아와 지지배배 두 마리 새끼를 품고 있네
이놈 너 참새야
차라리 내 폐를 쪼아 먹을지언정
내가 찧은 곡식을 먹지 마라
나더러 아침에 흰쌀 찧어놓으라 하셨는데
저녁에 헤아려보고 부족하면
계모가 노하실 것이야
참새야 날아가거라
어찌하랴! 한두 알 낱알이
되려 아이의 목숨을 그르쳤구나 아이의 목숨을 그르쳤구나
들판에 어떤 풀이 피었네
꽃 이파리가 작고 가냘프다
이를 캐며 길게 탄식하노니
우리와 함께 가자꾸나
우리와 함께 가자꾸나
해마다 한 맺힌 넋은 생기 없는 모습으로
사람 향해 입을 벌려 보지만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

 

晩孃晩孃莫打兒           만양만양막타아
打兒尙可莫殺兒           타아상가막살아
兒實無罪過                 아실무죄과
園中有棗兒不食          원중유조아불식
上有魚兒不逐          구상유어아불축
昨夜夢見我母             작야몽견아모
入出門汲淸       입주수수출문급청
潛悲不敢聲                 잠비불감성
倉中有千粟箱             창중유천속상
室裏有桂樹爲樑          실리유계수위량
鷹堂                    응준화당
中有四角香囊             중유사각향랑
百寶衣裳                    백보의상
朝日照之爛輝光          조일조지란휘광
兒苦飢兒寒不敢窺其傍 아고기아한불감규기방
庭前黃爵巢                 정전황작소
飛來夾兩          비래추추협양구
彼黃爵                    차피황작
寧啄我肺                    영탁아폐
毋食我稻黍                 무식아도서
令我朝白粲             영아조용백찬
暮來計不足                 모래계부족
晩孃怒                       만양노
黃爵飛去                    황작비거
奈何一雙粒                 내하일쌍립
使兒命誤兒命誤       번사아명오아명오
中原有草                    중원유초
花葉微細                    화엽미세
採之長歎                    채지장탄
爰我衆邁                    원아중매
爰我衆邁兮                 원아중매혜
年年怨魂少顔色          년년원혼소안색
向人口人不識          향인거구인부지

 

최성대(崔成大, 1691~?), 『두기시집(杜機詩集)』 권1 「만양편(晩孃篇)」

   
해설

   18세기를 살았던 두기(杜機) 최성대는 민정 세태와 풍속을 섬세한 감정으로 묘사한다고 평가받는 시인이다. 위에서 소개한 작품은 계모의 학대로 죽은 아이가 들판에 이름 모를 풀로 환생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아이의 집안은 부유하였지만 정작 아이는 행복하지 않았다. 평소 잘못한 일이 없는데도 계모에게 줄곧 학대를 받은 것이다. 계모의 학대가 심할수록 생모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쳤던지 꿈에서 엄마의 모습을 그리곤 하였다. 계모는 아이에게 곡식을 찧어놓게 한 후 수량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아이를 들볶았던 모양이다. 얼마나 괴로웠으면 참새에게 곡식 대신 자신의 폐를 쪼아 먹으라 사정하기까지 했을까. 참 얄궂게도 몇 알의 곡식을 빌미로 아이는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그 원혼은 들판의 이름 모를 작은 꽃이 되었다. 아이와 닮은 가냘프고 여린 모습으로.

 

   시 마지막 부분에 꽃을 캐는 사람은 누구일까. 최성대는 원한을 품은 여인이 꽃으로 환생한 내용을 다룬 < 원녀초가怨女草歌 >라는 시에서 "아픈 마음 아직도 그치지 못해/해마다 봄바람에 피는구나/주저하며 사람을 향하는 듯/얼굴에 바른 연지가 붉네/어떤 여인만이 이를 알아보아/꽃을 캐면서 길게 탄식하누나[苦心猶未已 年年發春風 低徊如向人 口輔脂紅 惟有裙識 採之長歎息]”라고 하였다. 환생의 모티브에 동병상련의 정서를 자주 구사하는 것은 최성대 작품의 특징이라고 한다. 이로 본다면 꽃을 캐는 사람은 학대받던 아이의 마음을 알아본 같은 처지의 또 다른 아이일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으로 시의 구두나 해석이 분명하지 않다. 게다가 말미의 ‘爰我衆邁 爰我衆邁兮’의 번역이 맞는지도 잘 모르겠다. 모두 필자의 공부가 부족한 탓이다. 잘못된 부분들에 대해 질정과 가르침을 베풀어 주시길 고대해 본다. 번역도 해설도 부족하면서 감히 이 시를 소개한 이유는 자신의 아픔을 알아달라는 듯 꽃잎을 피웠던 모든 아이를 기억하고 또 그 넋을 위로하고 싶어서이다. 그리고 더는 이름 모를 풀이 된 아이들이 나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글쓴이김준섭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